- 요즘은 개인을 중요시하는 문화가 강한데 왜 그룹을 활용한 사이트를 기획했는가?
- 개인을 중요시하는 문화가 강해진 상황에서도 공동체의 가치를 강조하기 위해서다. 공통의 관심사나 목표를 가진 사용자들이 모여 소통하고 협력하며, 사회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사회적 연결성을 강화할 수 있다고 생각해서 기획해 보았다.
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
- 왜 JWT 토큰을 사용했고, 무엇인지 설명해줄 수 있는가?
- JWT 토큰을 사용한 이유는 서버의 확장성을 높이고 다양한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jwt 토큰을 선택했다.
- 세션과 토큰의 차이를 설명해 달라! → 세션은 서버에 상태를 유지하며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반면, 토큰은 클라이언트에 인증 정보를 포함하고 서버의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다.
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
- ERD를 보니 status가 있는 것 같은데 이건 무슨 역할을 하는가?
- status는 데이터 소프트 삭제하기 위해서이다. 그렇게 기획한 이유는 사용자의 복구요청이 들어 올 수도 있기 때문이다.
- 하지만 민감한 개인정보의 경우에는 소프트 삭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완전 삭제에 관한 개발이 진행중이다.
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
- 어떤 서비스 인가?
- 저희는 그룹 여행 관리 플랫폼으로, 소셜로그인, 사진첩, 계획 기능, 여행 지도 스탬프, 목적지 AI 등의 기능을 제공하여 그룹 여행을 관리하고 기록하는 데 도움을 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!
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
- Uvicorn말고 Gunicorn을 사용한 이유?
- 비동기 프로그래밍은 복잡성이 높고, 새롭게 학습하는 데 시간이 필요하다고 판단해 개발기간이 제한적인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시간과 리소스를 최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구니콘을 사용했다.
- 동기 프로그래밍에는 유비콘을 못사용하나? → 사용할 순 있다. 하지만 비동기 서버인 Uvicorn은 여러 요청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지만, 이는 주로 비동기 코드를 사용할 때 잘 작동하기 때문에 우리와는 맞지 않다고 생각했다.
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
- 클라이언트가 웹 요청을 보내면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과정을 설명해줄 수 있나?